공장 제 수공업

공장 제 수공업

승인된 답변

공장(工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 Article · E0004428공장(工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 Article · E0004428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공장 고려시대의 공장 조선시대의 공장 『 삼국사기』와 『 삼국유사』의 기록을 보면 왕실과 관청의 영조물을 건설하는 장인과 국방용 무기를 제작하는 장인 국왕과 귀족의 생활 용구 장신구 등을 제작하는 장인이 광범하게 존재하고 있었다. 삼국시대의 수공업 생산은 장인들을 국왕이나 관청에 인신적으로 예속된 상태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한다. 삼국시대 장인의 위상은 그다지 낮지 않았다. 고대국가의 성립은 철기의 사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금속을 다루는 공장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였다. 신라의 장인은 경위(京位)나 외위(外位)에 해당하는 관등을 가졌으며 중앙의 상층 장인은 5두품이나 4두품에 해당하는 경위를 지니고 있었고 지방의 장인은 촌주에 속하는 신분이... See full list on encykorea.aks.ac.kr 통일신라시대 궁정 수공업과 관영 수공업은 고려의 성종(재위 981∼997년) 연간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갖추면서 관영 수공업 체제로 일원화되었다. 이에 고려의 수공업 체제는 관영 수공업 민영 수공업 소수공업 사원(寺院) 수공업으로 재편된다. 관영 수공업은 운영 주체가 국가 기구이며 그에 소속된 인원은 일정한 직위를 가지고 전업적으로 생산에 종사하는 공장과 부역 형태로 노동하는 공장의 두 부류로 나뉜다. 민영 수공업은 장인들이 사적으로 수공업을 영위하는 것이다. 소수 공업은 금 은 동 철 소금과 같은 원료 산지에서 원료를 채굴하고 조달하는 업무를 주로 하면서 동시에 일부에서는 제품도 생산하여 국가에 공납으... See full list on encykorea.aks.ac.kr 조선 왕조가 개창된 이후 조선 왕조는 국가나 왕실에서 필요한 제품을 장인을 징발하여 생산하고 전국 장인들에게 장세제(匠稅制)를 실시함으로써 관영 수공업체제를 확대하였다. 고려시대의 소 수공업은 조선의 관영 수공업 체제로 흡수되었다. 조선 왕조는 서울과 지방에 있는 모든 공장을 장적(匠籍)인 공장안(工匠案)에 등록시켜 경공장과 외공장으로 구분하고 장적은 공조(工曹)와 공장이 소속되는 관청 그리고 각 도와 읍에 보관하였다. 장적을 만듦으로써 관청에서는 공장의 노동력을 손쉽게 파악하고 동원할 수 있었으며 동원하지 않은 공장에게 공장세를 받는 근거로 삼을 수 있었다. 장적에 등록된 공장은 각자가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수공... See full list on encykorea.aks.ac.kr